보건복지 건강 지원 사업

영유아 혜택

2025년 영유아(0~7세) 지원금·혜택 총정리

출생~7세까지, 부모라면 반드시 챙겨야 할 현금지원!

👶 영유아 정부지원/현금 혜택 한눈에

🎁 ① 부모급여

• 만 0세: 매월 100만 원 (2025년)
• 만 1세: 매월 50만 원
※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+차액 현금 지급

🧸 ② 아동수당

• 만 0~7세(8세 생일 전월까지) 매월 10만 원 지급
• 어린이집, 유치원 다녀도 중복 수령 가능

🏫 ③ 보육료/유아학비

어린이집(보육료)
• 만 0세: 54만 원
• 만 1세: 47.5만 원
• 만 2세: 39.4만 원
• 만 3~5세: 28만 원
유치원(유아학비)
• 국공립: 15만 원
• 사립: 28만 원
※ 시설별 추가납입금 주의

👩‍👧‍👦 ④ 양육수당

• 어린이집·유치원 미이용 시 가정양육 지원
• 만 0~1세: 20만 원
• 만 2세: 15만 원
• 만 3~5세: 10만 원
※ 매월 25일 지급 (중복 불가)

💸 ⑤ 출산·다자녀 추가혜택

• 첫만남이용권: 출생아 1인 200만~500만 원 일시 지급
• 둘째부터 다자녀 가구: 출산·양육비 추가지원(지자체별)
• 다자녀 가구: 각종 공공시설·교통비·주차장·문화센터 할인

❗ 반드시 확인하세요

• 부모급여·아동수당·양육수당은 중복 일부 불가, 사전신청 필수
• 부모급여는 만 0~1세만! 보육료(어린이집) 이용 땐 차액만 지급
• 아동수당은 소득 상관없이 전원 지급, 8세 생일 전월까지
• 양육수당은 가정양육(시설 미이용)만 지급
• 다자녀 기준: 2025년부터 2자녀 이상 대부분 인정(일부 3자녀 기준)

💡 영유아 부모라면 꼭 챙길 지원

  • 키즈카페·놀이공원·뷔페 36개월 미만 무료입장 많음
  • 지역 육아종합지원센터·장난감도서관 무료/저렴 이용
  • 다자녀 가족카드 발급 시 문화·교통비 등 추가 할인
  • 지자체별 출산/양육비·기저귀·분유 지원 등 확인 필수

⚠️ 꼭 확인하세요!

  • 현금성 수당 대부분 24·복지로에서 신청, 미신청시 소급불가
  • 부모급여·아동수당·양육수당, 입소/전환/이중수령 주의
  • 양육수당은 어린이집/유치원 입학하면 자동 중단
  • 다자녀, 다둥이 전용 서비스는 지역별로 상이